레이아웃
|
|
 |
1단계 |
기초 이론/실험 |
|
|
2단계 |
실용 목적의 아이디어, 특허 등 개념정립 |
- 기술개발 개념 정립 및 아이디어에 대한 특허 출원
단계
|
|
 |
3단계 |
실험실 규모의 기본성능 검증 |
- 실험실 환경에서 실험 또는 전산 시뮬레이션을 통해 기본성능이 검증될 수 있는 단계
- 개발하려는 부품/시스템의 기본 설계도면을 확보하는
단계
|
|
4단계 |
실험실 규모의 소재/부품/시스템 핵심성능 평가 |
- 시험샘풀을 제작하여 핵심성능에 대한 평가가 완료된
단계
- 3단계에서 도출된 다양한 결과 중에서 최적의 결과를 선택하려는 단계
- 컴퓨터 모사가 가능한 경우 최적화를 완료하는 단계
|
|
 |
5단계 |
확정된 소재/부품/ 시스템시작품 제작 및 성능 평가 |
- 확정된 소재/부품/시스템의 실험실 시작품 제작 및 성능 평가가 완료된 단계
- 개발 대상의 생산을 고려하여 설계하나 실제 제작한
시작품 샘플은 1~수개 미만인 단계
- 경제성을 고려하지 않고 기술의 핵심성능으로만 볼 때,
실제로 판매가 될 수 있는 정도로 목표 성능을 달성한 단계
|
|
6단계 |
파일롯 규모 시작품 제작 및 성능 평가 |
- 파일롯 규모(복수 개~양산규모의 1/10정도)의 시작품
제작 및 평가가 완료된 단계
- 파일롯 규모 생산품에 대해 생산량, 생산용량, 불량률
등 제시
- 파일롯 생산을 위한 대규모 투자가 동반되는 단계
- 생산기업이 수요기업 적용환경에 유사하게 자체 현장테스트를 실시하여 목표 성능을 만족시킨 단계
- 성능 평가 결과에 대해 가능하면 공인인증 기관의
성적서 확보
|
|
 |
7단계 |
신뢰성평가 및 수요기업 평가 |
- 실제 환경에서 성능 검증이 이루어지는 단계
- 부품 및 소재개발의 경우 수요업체에서 직접 파일롯 시작품을 현장 평가(성능 및 신뢰성 평가)
- 가능하면 인증기관의 신뢰성 평가 결과 제출
|
|
8단계 |
시제품 인증 및 표준화 |
|
|
 |
9단계 |
사업화 |
- 본격적인 양산 및 사업화 단계
- 6-시그마 등 품질관리가 중요한 단계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