레이아웃
레이아웃
레이아웃
레이아웃
레이아웃
검색창
LOGIN
JOIN
레이아웃
레이아웃
레이아웃
아이디
비밀번호
기술이전안내
인사말
기술이전이란
기술이전절차
기술성숙도(TRL)
담당자연락처
기술거래관련제도
관련기관안내
기술이전검색
기술이전검색
기술이전온라인신청
기술이전설명회
기술이전예고
자료실
시장보고서
서식자료
고객지원
기술이전상담
FAQ
고객의 소리
오시는길
메뉴 스크립트
메뉴 스크립트
레이아웃
레이아웃
레이아웃
HOME > 기술이전검색/신청 > 기술이전검색
레이아웃
레이아웃
레이아웃
레이아웃
기술명
IoT 보안 자율제어 시스템용 경량 암호 기술
기술개요
- 본 기술이전은 IoT 보안자율제어 시스템에서 보안 기능 수행을 위해 필요로 하는 다양한 암호 알고리즘에 대한 구현 기술임.
- 본 기술이전은 Cortes-M3급 MCU 기반 경량형 IoT 보안 자율제어 시스템에 적용 가능한 대칭키 및 비대칭키 암호알고리즘, 메시지 인증, 해쉬 한수, 난수 발생기를 포함함
기술이전목적
및 필요성
- 다양한 무선?이동 접속 환경 및 네트워크 연계 상황에서 안전한 IoT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해킹에 의한 사물봇, 분산 서비스거부공격, 빠른 공격 확산 등을 막아 3D 보안위협(Defense Threats-Spread, Defense IoT-Bots/DDoS, Defense Thing-Malware)을 방어하는 IoT 인프라 상황 적응형 보안 자율제어 기술 개발이 필요함.
기술의 특징 및 장점
본 기술은 경량 IoT 기기뿐 아니라 제한된 하드웨어 리소스를 가지는 다양한 임베디드 시스템에 적용이 가능하고, 국가 및 공공기관에서도 사용이 가능한 다양한 국산 암호알고리즘을 포함함. 본 기술은 ARM 32-bit Cortex-M3 기반의 경량 IoT 기기 플랫폼*에서 구현 및 시험되었으나, 하드웨어 의존성 없이 표준 C-언어로 구현되었고, 특정 라이브러리의 의존성이 거의 없어, 다양한 임베디드 시스템에 쉽게 적용이 가능함을 특징으로 함.
기술성숙도(TRL)
단 계 : 4
활용방안 및
기대성과
- 본 기술이전은 스마트에너지, 스마트홈, 스마트의료 서비스 환경에서 서비스 안전성을 보장하기 위해 필요한 IoT 기기의 보안기능을 제공을 위한 핵심 보안 기술로 활용될 수 있음.
- 본 기술이전은 스마트 미터, 스마트 홈기기 등 다양한 스마트 경량 IoT 기기에 적용될 수 있으며, 이를 이용해 안전한 사물인터넷 서비스 등에 활용될 수 있음.
- 특히, 본 기술이전은 자원이 제한적인 경량 IoT 기기뿐 아니라, 다양한 임베디드 기기에 적용될 수 있으며, 외산 제품의 라이센싱 비용 절감 및 자체기술 확보로 IoT 산업에도 경제적인 효과도 기대할 수 있음
기술이전 내용 및 범위
- 본 기술이전은 IoT인프라 상황 적응형 보안 자율제어 핵심기술 개발에 기본적으로 필요로 하는 다양한 암호 알고리즘에 대한 구현 기술임.
- 본 기술이전은 경량 IoT 기기 뿐 아니라, 다양한 임베디드 시스템에서도 적용이 가능한 경량 암호 알고리즘 구현 기술임.
- 본 기술의 세부 구성은 ARIA, SEED, LEA, HIGHT 등 다양한 국산 암호 알고리즘을 포함하는 “경량 IoT기기용 대칭키 암호 기술”과 ECC 암호 알고리즘을 이용한 전자서명, 키 교환 등을 포함하는 “경량 IoT기기용 비대칭키 암호 기술”로 구성됨.
A. 기술명 : 아이오티(IoT) 보안자율제어 시스템용 대칭키 암호 기술
- 블록암호를 이용한 기밀성 기능 (AES-128/192/256, ARIA-128/192/256, LEA-128/192/256, SEED-128, HIGHT-128 ECB/CBC/OFB/CFB/CTR 모드 지원)
- 블록암호를 이용한 기밀성 및 메시지 인증 기능 (AES-128/192/256, ARIA-128/192/256, LEA-128/192/256, SEED-128 CCM/GCM 모드 지원)
- 블록암호를 이용한 메시지 인증 기능 (AES-128/192/256, ARIA-128/192/256, LEA-128/192/256, SEED-128, HIGHT-128 CMAC 지원)
B. 기술명 : 아이오티(IoT) 보안자율제어 시스템용 비대칭키 암호 기술
- 전자서명 기능(ECDSA, ECC NIST-P256)
- 키교환 기능(ECDH, ECC NIST-P256)
- 키생성 기능(ECC 공개키 생성 기능, ECC NIST-P256)
- 해시 기능(SHA-256)
- 메시지 인증 기능(HMAC with SHA-256)
- 난수발생 기능(HASH_DRBG with SHA-256)
A. 기술명 : 아이오티(IoT) 보안자율제어 시스템용 대칭키 암호 기술
- 시스템 설계서, 상세설계서 중 대칭키 암호 기술 부분
- 대칭키 암호 알고리즘 소스코드
- 암호 기술 시험절차 및 결과서 중 대칭키 암호 기술 부분
B. 기술명 : 아이오티(IoT) 보안자율제어 시스템용 비대칭키 암호 기술
- 시스템 설계서, 상세설계서 중 비대칭키 암호 기술 부분
- 비대칭키 암호 알고리즘 소스 코드
- 암호 기술 시험절차 및 결과서 중 비대칭키 암호 기술 부분
관련지적재산권
레이아웃
특허 3
건
1) 키 에스크로 기반의 IP 카메라 보안 시스템 및 이의 보안성 향상 방법
(출원번호 : 2019-0022784)
2) 사물인터넷 인프라 환경에서의 보안통제 장치 및 방법
(출원번호 : 2019-0027801)
3) 보안 통제 장치 및 방법
(출원번호 : 2019-0034594)
첨부파일
기
술
이
전
조
건
실시권 허용범위
비독점적 통상실시권
계약기간
계약체결일로부터 5 년간
기술료조건
(부가세별도)
※ 경상기술료
레이아웃
구분
중소기업
중견기업
대기업
착수기본료(천원)
35,000
70,000
70,000
매출정률사용료(%)
1.25
3.75
5
※중소기업 또는 중견기업 기술료조건을 적용받고자 하는 경우에는 중소기업확인증 또는 중견기업확인증 제출 필요
기술전수교육
2 개월 / 1,000 천원정(부가세별도)
기타특기사항
세
부
문
의
기술관련
레이아웃
기술개발
발표당시
시스템보안연구그룹 김정녀 ( 042-860-4884 , jnkim@etri.re.kr )
현재
네트워크·시스템보안연구실 김정녀 ( 042-860-4884 , jnkim@etri.re.kr )
계약관련
레이아웃
기술개발
발표당시
기술이전실 송민철 ( 042-860-0834 , mc@etri.re.kr )
현재
기술이전실 김영규 ( 042-860-4960 , kyk@etri.re.kr )
레이아웃
ETRI
|
Venture119
|
기술도우미
|
SITEMAP
|
개인정보처리방침